32 김순영(金順永)

페이지 정보

본문

제32회(1989년 4월 20일)
효행상(孝行賞)
경북 영양군 청기면
효부(孝婦) 김순영(金順永) 55세

가난한 농가에서 태어난 김순영(金順永) 여사(女史)는 집안이 너무 가난했기 때문에 국민학교에도 제대로 다니지 못하고 어렸을 때부터 잔심부름을 하고 집안일을 도우면서 자라서 부모님께 효도하는 것이 몸에 배어 있었다.

양가 부모님의 정혼(定婚)으로 김병일씨와 혼인했으나 시댁(媤宅)역시 가난하여 산간벽촌에서 농토라고는 한 평도 없이 남편의 날품팔이로 늙은 부모님을 모시고 겨우 살아가는 형편이었다

그래서 김여사(金女史)는 신혼 초부터 산에 가서 약초(藥草)를 캐어다가 팔아 가계를 도우면서 가난하지만 단란한 가정을 꾸려나갔다.

세월이 흘러서 자녀들이 불어나고 거기에다가 시어머니가 중풍으로 자리에 눕게 되자 가세는 더욱 어려워져 갔다.

약초를 캐서 번 돈으로 시어머니의 약을 구해서 달여 드리고 식사의 시중을 들고 대소변을 받아 내는 등 김여사(金女史)는 시어머니를 위해서 모든 정성을 다 바쳤다.

손발을 깨끗이 씻어 드리고 날마다 빨래를 하고 산에서 일찍 내려오는 날이면 시어머니(媤母) 옆에서 말동무도 해 드리고 지극한 정성으로 3년 동안 병구완(病救援)을 해 왔다.

슬하의 자녀들이 중·고등학교에 진학하게 되자 생활은 날로 더 어렵게 되었다.

그래서 김여사(金女史)는 야산을 개간하기로 했다.

천신만고 피나는 노력으로 산지(山地) 약 천평을 일구어 고추, 감자, 옥수수 등을 재배하여 교육비를 마련하는데 큰 도움을 얻게 되었다.

적수공권(赤手空拳) 찢어지게 가난하던 살림살이를 이만큼이나 개척(開拓)해 놓은 김여사(金女史)는 이번에는 마을 어머니회관에 구판장을 개설했다.

구판장의 개설에 따라 마을 사람들의 생활이 더 편리해졌고 그것을 운영해서 생긴 수익금의 일부를 마을 노인들을 위해 경로잔치를 베푸는 등 노인들을 즐겁게 해 드렸다.

생계를 위해서는 어떤 궂은 일이라도 마다하지 않고 시부모님을 위해서 어떤 어려운 일이라도 감당해내는 김여사(金女史)는 중풍으로 반신불수가 된 시어머니의 병구완을 하는 한편, 농사일과 구판장의 운영 등 일인 삼역을 맡아 주야로 헌신적인 노력을 하고 가정의 화목은 물론이고 이웃과도 다정하게 지내고 마을의 어른들을 공경(恭敬)하는 그야말로 효친(孝親)경로사상이 출중(出衆)한 부덕(婦德)을 갖춘 효행(孝行)의 표본(標本)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