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이선늠(李善廩)

페이지 정보

본문

제32회(1989년 4월 20일)
효행상(孝行賞)
경북 안동군 서후면
효부(孝婦) 이선늠(李善廩) 52세

이선늠(李善廩) 여사(女史)는 안동군 풍산읍에서 출생해서 어려서부터 부모님을 하늘같이 모시고 집안이나 이웃 어른들을 공경(恭敬)해야 한다는 엄한 가정교육을 받고 자랐기 때문에 효친 경로사상이 몸에 배어 있는 효부(孝婦)이다.

30년 전에 안동군 서후면에 사는 김두섭씨와 결혼했으나 가난한 농민이라 가정생활이 어려워 낮에는 힘든 농사일을 하고 밤에는 삯바느질을 하는 등 온갖 힘드는 일을 하면서도 불평 한마디 없이 시동생을 대학까지 보내어 공부 시키고 2남 3녀의 자녀를 길러낸 정통적(正統的)인 한국여성이다.

이여사(李女史)는 가난한 살림을 꾸려가는데 혼신의 힘을 다 하면서 한편으로는 104세가 된 시어머니를 지극한 정성(精誠)으로 봉양(奉養)하고 있다.

언제나 맛있게 따뜻한 음식을 지어 드리고 의복도 깨끗하게 세탁해서 입혀 드리는 등 정성을 다하여 모셨기 때문에 104세에 이르기까지 무병건강(無病健康)하시고 장수(長壽)하실 수 있다고 마을사람들의 칭찬이 자자하며 이여사(李女史)의 효행(孝行)에 감복하고 있다.

세상의 효부(孝婦)들은 병든 부모의 간호(看護)를 정성껏하여 칭찬을 받지마는 이여사(李女史)는 어떻게 하면 부모님이 병들지 않고 건강하게 모실 수 있을까 하는데에 전심전력을 다하고 있다.

사소한 일이라도 시어머니의 마음을 어지럽히지 않으려고 세심한 주의를 하고 집안을 평화롭게 해서 시어머니의 마음을 즐겁게 해 드리려고 모든 정성(精誠)을 다한다.

이여사(李女史)는 평소에 놀러오시는 집안 어른들이나 이웃 어른들에게도 친절하고 공손하게 접대할 뿐 아니라 해마다 노인들을 모시고 경로잔치를 베풀어 술과 음식을 정성껏 장만하여 대접하고 하고 시어머니와 이웃 노인들이 하루 종일 즐겁게 지낼 수 있도록 한다.

평소에도 동네 어른들이 모여 계시는 경로당을 찾아가서 청소도 깨끗이 하고 연탄을 손수 갈아 드리고 어른들의 새참으로 국수나 라면을 손수 끓여서 대접하기도 한다.

효친 경로하는 일은 돈으로 되는 것은 아니다.

연말에 불우이웃돕기에 얼마의 성금을 내놓았다고 적선(積善)했다고 생각해서는 안된다.

이러한 이여사(李女史)의 효친(孝親) 경로심을 경로당의 노인들은 물론이고 향리의 모든 사람들이 극구(極口)찬양 하고 있다.